주택청약 25만원으로 상향 조정 되었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최근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진 가운데, 주택청약은 가장 현실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약통장 25만원의 중요성과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청약이란?
주택청약은 정부나 민간에서 공급하는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가입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청약통장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청약에 모두 활용 가능하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에게 필수적입니다.
참고 : 나이가 19~34세 해당 하신다면 해당 통장 알아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자세히 알아보기
주택청약 25만원 vs 10만원
주택청약통장은 원래 10만원 한도였는데 월 최대 25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게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그럼 여기서 문제!
기존에 10만원 넣으신분들은 25만원을 상향 해서 넣어야 될까요!?
답은 YES 입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0만원을 유지한 사람과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 한사람이 있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10만원을 유지한 사람
- 10만원 * 12개월 = 120만원
-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한 사람
- 25만원 * 12개월 = 300만원
위에를 보시면 돈이 확연히 차이가 나죠? 바로 이 돈에 힌트가 있습니다.
돈에 따라서 국민주택, 민영주택에 당첨될 확율이 높아지는데요!
- 국민주택 당첨조건
- 전용면적 40㎡(12.1평) 이하 : 납입 횟수가 많은분을 당첨자로 선정합니다.
- 전용면적 40㎡(12.1평) 초과 : 저축 총액이 많은분을 당첨자로 선정합니다.
- 민영주택 당첨조건
- 민양주택은 가점제와 추첨제로 뽑는데요.
가점제는 무주택, 부양가족,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주로 봅니다.
추첨제 같은 경우 일정 금액을 넘는 분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선정합니다.
- 민양주택은 가점제와 추첨제로 뽑는데요.
국민주택은 저축 총액이 많은 사람을 당첨자로 선정하기 때문에
25만원을 저축하시면 훨씬 유리합니다!
이제 좀 이해가 되실까요?
여유가 되신다면 25만원씩 입금하시고 다른 사람들보다 청약 당첨기회를 높이면 좋겠죠?
한 달 25만 원의 장점
- 청약 가점 상승
주택청약 당첨을 위한 핵심은 높은 가점입니다. 매달 25만 원씩 납입하면 납입 금액 점수가 빠르게 쌓이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 청약 1순위 요건 충족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조건은 일정 금액 이상을 저축해야 합니다. 월 25만 원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청약 1순위 자격을 충족하는 데 충분합니다. - 목돈 마련
주택청약은 단순히 청약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목돈을 마련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매달 25만 원씩 10년간 저축하면 약 3,000만 원이라는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소득공제 혜택이 24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상향 조정 되었습니다. 단 조건이 있는데요. 연봉 7000만원 이하 이면서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만약 결혼하셨다면 배우자분도 같이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청약 성공을 위한 전략
주택청약 가점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아래 항목을 고려하세요:
- 가입 기간: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길수록 가점이 높아집니다.
- 부양가족 수: 배우자와 자녀 등 가족이 많을수록 가점이 증가합니다.
- 무주택 기간: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유리한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가점 외에 추첨제 비율을 활용하는 전략도 고려해 보세요.
결론: 25만원으로 준비하는 내 집 마련
한 달 25만 원의 청약 저축은 내 집 마련의 첫걸음이자 가장 현실적인 준비 과정입니다. 규칙적으로 납입하면 가점을 높이고, 청약 1순위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은 단순한 저축 이상의 가치를 제공합니다. 지금부터 매달 25만 원을 저축하며 내 집 마련의 꿈에 한 발 더 가까워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