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 지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란?
나이에 상관없이 국가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급여별 선정기준 이하의 모든 가구에 대하여
생계ㆍ주거ㆍ교육ㆍ의료ㆍ자활ㆍ장제ㆍ해산 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기초생활을 국가가 보장해 주는 제도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 지원이란?
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장례비 지원 제도는 저소득층 가정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제공하는 복지 혜택 중 하나입니다.
이 제도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가족의 장례비용을 부담하기 힘든 분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지원 대상
-
- 생계 수급자, 의료 수급자, 주거급여 수급자가 사망했을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 금액
위 지원대상에 해당하는 수급자 사망한 경우 사체의 검안, 운반, 화장 또는 매장
기타 장제조치를 하기 위한 금액으로 장례비 지원 금액
사망자 1인당 최대 8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이는 장례식 준비에 필요한 기본적인 비용을 충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신청 방법
- 오프라인
- 시군구청장에게 제출합니다.
복지대상자의 장제급여 지원신청서를 해당하는 시군구청장에게
제출하면 됩니다. - 사망신고서는 사망신고로 갈음이 가능합니다.
- 실제 장제를 했는지의 지급 여부를 확인 하기 위해 영수증 등을
같이 제출해야 합니다. - 꼭 거주지 관할 지역이 아니더라도 전국 어디서나
신청이 가능하니 참고부탁드립니다.
- 시군구청장에게 제출합니다.
- 온라인
-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서비스신청을 통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저소득층
- 해산/ 장제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처리절차
절차는 총 6단계입니다.
-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
- 읍면동 또는 복지로에서 서비스 신청을 접수합니다.
-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 시군구에서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심사를 진행합니다.
- 대상자 확정
- 시군구에서 서비스 지급을 위한 대상자를 결정합니다.
- 이의 신청 접수
- 이의가 있는 경우, 시군구에서 이의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지원
- 시군구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지급합니다.
- 서비스 사후 관리
- 시군구에서 서비스 제공 이후 대상자의 상황 관련 사항을 관리합니다.